티스토리 뷰
목차
2026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320원으로 확정됐습니다.
하지만 내가 실제로 받는 월급, 세후 실수령액은 얼마일까요?
여기서 가장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
2026년 최저임금, 얼마인가요?
2026년 시간당 최저임금은 10,320원입니다.
작년보다 290원, 2.9% 인상됐습니다.
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으로
월급은 세전 2,156,880원이 됩니다.
이번 인상은 17년 만의 노사공 합의로 결정된 점이 특징입니다.
구분 | 2025년 | 2026년 |
---|---|---|
시간당 임금 | 10,030원 | 10,320원 |
월급(세전) | 2,095,700원 | 2,156,880원 |
세후 실수령액은 얼마일까요?
월급 2,156,880원에서 4대 보험을 공제합니다.
공제 예시(1인 기준):
- 국민연금: 약 97,060원
- 건강보험: 약 70,930원
- 장기요양보험: 약 8,710원
- 고용보험: 약 21,570원
총 공제액 약 198,270원
실수령액은 약 1,958,610원이 됩니다.
(가족 여부,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 조건에 따라 실제 차이 있습니다.)
항목 | 월금액 |
---|---|
세전 월급 | 2,156,880원 |
4대 보험 공제 | -198,270원 |
실수령액 | 1,958,610원 |
알바·직장인 실수령액, 이렇게 다릅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주휴수당을 포함해 시급이 더 올라갑니다.
이 경우 시급 12,384원 수준까지 상승합니다.
수습기간(3개월 이하)엔 최저임금의 90%, 즉
시급 약 9,288원, 월 약 1,941,192원(세전)도 가능합니다.
단, 정규직, 무기계약자만 수습 감액 적용이 됩니다.
주 15시간 미만, 단기 알바는 주휴수당이 없습니다.
연장·야간·휴일 근무시 추가수당이 별도 발생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 2026년 최저임금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2026년 1월 1일부터입니다.
2025년 12월 31일까지는 2025년 시급(10,030원)이 적용됩니다.
Q. 월급 환산액에 주휴수당 포함인가요?
네, 월 209시간 기준 환산된 금액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Q. 수습기간에는 최저임금이 깎이나요?
무기계약(정규직) 3개월 이내 수습자는 10% 감액이 가능(시급 9,288원)
단기·알바·기간제는 감액 불가입니다.
Q. 이 금액이 실제로 내 통장에 들어오나요?
4대 보험, 가족 여부, 수당 등 조건에 따라 실수령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실제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다소 차이가 납니다.
2026년 최저임금,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세요!
최저임금 인상으로 세전 월급은 215만 원, 세후 실수령액은 약 196만 원이 됩니다.
알바생, 직장인 모두 적용되는 내용이니 미리 내 상황에 맞는 월급을 꼭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