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크로아티아는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아름다운 여행지로,
푸른 아드리아해와 중세 분위기가 어우러진 곳입니다.
특히 두브로브니크, 스플리트, 자그레브 등은 역사적 명소와 자연경관이 조화를 이루며 여행자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크로아티아 자유여행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예산 계획, 물가 정보, 환전 팁 및 경비 절약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겠습니다.
크로아티아 화폐와 환전 꿀팁
유로화 사용
2023년부터 크로아티아는 공식 통화로 유로(EU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행 전 유로로 환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환율은 평균적으로 1유로 = 약 1,490원 정도입니다.
환전 방법
- 한국에서 미리 유로로 환전 후 출국
- 현지 ATM을 이용한 카드 인출 (환율 우대 적용 가능)
- 30%만 현금 환전, 나머지는 카드 사용 추천
📌 TIP: 환전소보다는 은행이나 공항에서 환전하는 것이 안전하며,
트래블 월렛 카드나 글로벌 체크카드를 활용하면 ATM 인출 시 수수료 절약이 가능합니다.
크로아티아 물가 정보
크로아티아의 물가는 동유럽 국가 중에서도 다소 높은 편입니다. 특히 여름 성수기에는 두브로브니크와 스플리트의 물가가 급등합니다. 주요 생활비를 항목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항목가격
항목 | 가격 |
저렴한 레스토랑 식사 | 약 1520유로 (약 23만 원) |
관광지 레스토랑 식사 | 3050유로 (약 57만 원) |
맥주 한 잔 | 35유로 (약 4,5007,500원) |
커피 한 잔 | 23유로 (약 3,0004,500원) |
버스(도시간 이동) | 2040유로 (약 36만 원) |
택시 기본요금 | 약 10유로 (약 1.5만 원) |
크로아티아 여행 예산 계산 (7박 9일 기준)
크로아티아를 7박 9일 동안 여행한다고 가정할 때, 여행 예산을 항목별로 예상해보겠습니다.
1. 항공료
- 인천 → 자그레브 직항 왕복: 약 100~130만 원
- 경유 항공권 (유럽 경유): 80~100만 원
2. 숙박비 (3성급 호텔 기준)
- 자그레브: 7~10만 원/박
- 스플리트: 10~15만 원/박
- 두브로브니크: 15~20만 원/박 (성수기 25만 원 이상)
- 총 예상 비용: 약 100만 원 (중간급 호텔 기준)
3. 식비
- 일반적인 하루 식비: 8~10만 원 (고급 레스토랑 포함 시 12만 원 이상)
- 7박 9일 기준 총 식비: 약 70~90만 원
4. 교통비
- 도시 간 이동 (버스/기차): 약 30~50만 원
- 시내 교통비 (택시, 대중교통): 약 10~20만 원
5. 관광지 입장료
- 두브로브니크 성벽 투어: 35유로 (약 5만 원)
- 플리트비체 국립공원: 40유로 (약 6만 원)
- 기타 명소 포함 약 30~40만 원 예상
총 예상 경비 (7박 9일 기준)
항목 | 예상 비용 |
항공권 | 100~130만 원 |
숙박비 | 100만 원 |
식비 | 70~90만 원 |
교통비 | 40~70만 원 |
관광지 입장료 | 30~40만 원 |
총합 (예상 비용) | 약 250~350만 원 |
크로아티아 자유여행 예산 절약 꿀팁
✅ 비수기(10월~5월) 여행 추천 → 성수기 대비 숙소 가격이 3040% 저렴
✅ 로컬 식당 이용 → 관광지보다 3050% 저렴
✅ 대중교통 적극 활용 → 택시보다 버스/트램 이용
✅ 사전 예약 필수 → 숙소, 항공권, 관광지 티켓 미리 예약하면 추가 할인 가능
이 글을 통해 크로아티아 자유여행을 준비하는 분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예산을 계획하고,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 🚀